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NEO 성격검사(NEO-PI)

Psychology with ASHA/@ 심리검사방법

by ASHA KANG 2021. 9. 23. 10:42

본문

728x90
반응형

NEO 성격검사 (NEO-Personality Inventory: NEO-PI)

 

성격의 5요인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기보고형 심리검사로서 Costa와 McCrae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Costa와 McCrae는 1978년에 질문지형 성격검사를 개발하면서 시경과민성(N), 외향성(E), 개방성(O) 세 요인의 첫 글자를 따서 NEO-I(NEO-Inventory)라고 명명했으며 1985년에 우호성(A)과 성실성(C)을 추가하여 성격 5요인을 모두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면서 NEO-PI(NEO-Personality Inventory)라고 개칭했다. 그리고 1992년에는 성격 5요인을 각각 6개의 하위척도로 세밀하게 측정하는 개정판 NEO-PI-R(NEO-Personality Inventory-Revised)을 발행했다. 

 

 

NEO 성격검사는 성격의 5요인, 즉 신경과민성,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을 측정하고 있으며 아래 <표1-1>과 같이 각 성격요인은 6개의 하위척도로 측정되고 있다.

 

<표 1-1>

신경과민성
(Neuroticism)
외향성
(Extroversion)
개방성
(Openness to
Experience)
우호성
(Agreeableness)
성실성
(Conscientiousness)
불안 따뜻함 공상 신뢰성 유능함
적대감 사교성 심미안 솔직성 질서정연함
우울 자기주장성 감성 이타성 의무감
자의식 활동성 실행력 순응성 성취추구
충동성 흥분 추구 아이디어 겸손함 자기절제
스트레스 취약성 긍정 정서 가치 온유함 신중성
반응형

 

NEO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이나 경험을 기술하는 문장을 제시하는 240개 문항(5요인X6하위척도X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자는 각 문항에 대해서 5점 평정척도상에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NEO 성격검사는 다양한 연령층에 실시할 수 있으며 본인용, 관찰자용, 배우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NEO 성격검사의 240개 문항을 60개 문항으로 단축한 NEO-Five Factor Inventory(NEO-FFI)도 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