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강점검사 (Character Strength Test: CST)
권석만, 유성진, 임영진 및 김지영(2010)에 의해서 개발된 성격강점검사는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고 있으며 6개 덕목의 24개 성격강점을 측정하고 있다. CST는 2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로서 VIA 분류체계의 24개 성격강점과 더불어 응답자의 긍정왜곡 반응성향을 반영하는 사회적 선희도(Social desirability)를 측정하고 있다. CST는 한국인의 성격강점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Likert 4점 척도상에서 평정된다.
CST는 성격강점을 자기보고형 질문지로 측정할 경우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반응 성향을 보정하는 장치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화 자료를 통해서 성격강점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규준이 마련되어 있다. CST는 표준화를 총해서 개인의 성격강점이 또래집단에 비해 어느 수준에 해당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성격강점검사는 질문지 형식으로 실시항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유료_http://inpsyt.co.kr)을 통해 실시할 수 있으며, 즉시 결과보고서를 받아 볼 수 있다.
* 내용은 공부하면서 계속 업데이트 진행 중 *
[투사적 성격검사] 주제통각검사(TAT) (0) | 2021.09.24 |
---|---|
[투사적 성격검사] 로르샤흐 검사 (0) | 2021.09.24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MMPI)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유형검사 (MBTI)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기질 및 성격검사 (TCI)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