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유형검사 (MBTI)

Psychology with ASHA/@ 심리검사방법

by ASHA KANG 2021. 9. 23. 11:20

본문

728x90
반응형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Carl Jung의 성격유형이론에 근거하여 Katharine Briggs와 그의 딸 Myers가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다. 

 

MBTI는 4개의 성격차원(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에 대한 선호(preferences)를 평가하기 때문에 성격유형 선호 지표라고 불린다. 

 

MBTI는 피검자가 단어나 문장으로 이루어진 2개의 선택지 중에서 자신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166개(Form F) 또는 126개(Form G)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MBTI는 네가지 성격차원, 즉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에서 개인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MBTI는 양극으로 구성된 네 차원에 의해서 16가지의 성격유형(예:ISTJ,INFP....)으로 구분한다. 

 

 

선호지표 지표의 의미
외향 (Extraversion) 내향 (Introversion)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
외부세계와 내면세계 중 어느쪽을 선호하는가
감각 (Sensing) 직관 (Intuition) 인식 및 정보수집 기능:
주어진 기본적 정보 또는 그것의 해석과 의미 중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가
사고 (Thinking) 감정 (Feeling) 판단 및 결정 기능:
논리적 일관성 또는 개인의 특수한 사정 중 어떤 판단 기준을 선호하는가
판단 (Judging) 인식 (Perceiving) 생활양식:
매사가 분명하게 결정된 것 또는 새로운 가능성에 열려 있는 것 중 어떤 삶의 방식을 선호하는가

 

반응형

 

MBTI는 대중성과 활용 가능성이 높은 성격검사지만 과학적인 연구를 위한 평가도구로는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