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기질 및 성격검사 (TCI)

Psychology with ASHA/@ 심리검사방법

by ASHA KANG 2021. 9. 23. 11:05

본문

728x90
반응형

기질 및 성격검사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Cloninger가 자신이 제시한 기질과 성격을 측정하기 위해서 1994년에 동료들과 함께 개발한 자기보고형 검사다. 

 

TCI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반응 성향을 측정하는 4개의 기질 척도(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와 개인의 성숙도와 적응수준을 측정하는 3개의 성격척도(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로 구성되어 있다.

 

<표1-1>에 제시되어 있듯이, 기질척도와 성격척도는 각각 3~5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표 1-1> TCI의 기질척도와 성격척도



자극추구
(Novelty Seeking)
NS1 탐색적 흥분
NS2 충동성
NS3 무절제
NS4 자유분방


자율성
(Self- Directedness)
SD1 책임성
SD2 목적의식
SD3 유능감
SD4 자기수용성 
SD5 자기일치성
위험회피
(Harm Avoidance)
HA1 예기불안
HA2 불확실성 공포
HA3 수줍음
HA4 쉽게 지침
연대감
(Cooperativeness)
C1 타인수용성
C2 공감성
C3 이타성 
C4 관대성
C5 통합적 양심성
사회적 민감성
(Reward Dependence)
RD1 정서적 감수성
RD2 정서적 개방성
RD3 친밀감
RD4 의존
인내심
(Persistence)
P1 근면
P2 끈기
P3 성취 야망
P4 완벽주의
자기초월
(Self- Transcendence)
ST1 창조적 자기망각
ST2 초월적 일체감
ST3 영적 수용성

 

TCI는 기질과 성격 특성을 기술하는 1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서 피검자가 5점 척도로 평정하게 되어 있다. 

 

반응형

 

TCI는 기질척도의 점수 조합을 통해서 개인의 선천적인 반응 양식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격점수의 조합을 통해서 개인의 성숙도와 적응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