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적 인성검사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성격 특성과 더불어 정신 병리적 증상을 평가할 수 있는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로서 임상장면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MMPI는 1943년 Hathaway와 McKinley에 의하여 정신병리적 증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되었다. 1989년에 개정판인 MMPI-2가 발표되었으며 2003년에는 재구성 임상 척도를 활용한 MMPI-2-RF(Restructured Form)가 개발되었다.
MMPI-2는 9개의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의 일상적 경험과 심리적 특성을 문장으로 기술한 567개의 문항에 대해서 피검자는 "예" 또는 "아니요"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보고형 검사의 가장 큰 약점은 피검자가 의도적으로 거짓된 응답을 하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왜곡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선발이나 채용 과정에서 자신의 성격적 문제나 정신 병리를 숨기기 위해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에 "아니요"라고 응답하거나 법적 책임이나 군복무 의무를 피하기 위해 심각한 정신장애를 지닌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서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에 "예"라고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MMPI-2는 피검자가 어떤 태도로 검사에 응했는지를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9개의 타당도 척도를 포함시키고 있다.
MMPI-2는 피검자의 다양한 정신병리적 또는 성격적 특성을 평가하는 10개의 임상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측정 내용은 <표1-1>과 같다. MMPI-2는 임상 척도 외에 재구성 임상척도(의기소침, 신체증상 호소, 낮은 긍정정서, 냉소적 태도, 반사회적 행동 등), 성격병리 5요인 척도(공격성, 정신증, 통제 결여, 부정 정서성, 내향성), 임상소척도(주관적 우울감, 정신운동 지체, 둔감성, 애정 욕구 등), 내용척도(불안, 공포, 강박성, 낮은 자존감 등)와 같은 다양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표1-1> MMPI-2의 임상척도와 측정 내용
하위척도 | 척도의 측정 내용 및 심리적 의미 |
1. Hs(건강염려증) | 피검자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고 이러한 증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신체적 기능에 대한 과도한 집착 및 질병이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불안을 반영한다. |
2. D(우울증) | 우울증상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서, 비관적이며 슬픈감정, 자기비하, 희망의 상실, 무력감 등을 나타낸다. |
3. Hy(히스테리) |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기 위해 자신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부인하고 부정하며, 대신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
4. Pd(반사회성) | 사회적 규범에 비순응적이고 권위에 적대적이며 반사회적인 행동과 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분노감, 충동성, 정서적 피상성 및 예측불가능성 등을 반영한다. |
5. Mf(남성성-여성성) | 직업 및 취미에 대한 관심, 심리적 및 종교적 취향, 능동성-수동성, 대인감수성 등에 있어서의 남성적 또는 여성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이다. |
6. Pa(편집증) | 대인관계에 대한 민감성, 의심성 및 피해의식, 자기 정당화 등의 편집적 특성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
7. Pt(강박증) | 오랫동안 지속된 만성적 불안과 강박적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
8. Sc(정신분열증) | 정신적 혼란상태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기괴한 사고과정, 비정상적인 지각, 사회적 고립, 주의집중의 장애, 충동억제의 곤란 등을 반영한다. |
9. Ma(경조증) | 비약적이고 과장된 사고, 과잉행동, 불안정하고 흥분되어 있는 들뜬 정서상태를 측정한다. |
10. Si(내향성) | 사회적 장면에서의 불편감, 고립감, 일반적 부적응, 자기비하 등의 특징을 측정한다. |
MMPI가 임상적 진단도구로 사용될 때는 반드시 성격이론, 정신병리이론, 심리검사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받은 사람에 의해서 신중하게 그 결과가 해석되어야 한다.
[투사적 성격검사] 로르샤흐 검사 (0) | 2021.09.24 |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강점검사 (CST)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유형검사 (MBTI)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기질 및 성격검사 (TCI)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NEO 성격검사(NEO-PI)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