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르샤흐 검사(Rorschach Test)
1921년 Hermann Rorschach에 의해 개잘되었으며 아래 그림과 같이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한 대칭형의 잉크얼룩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드를 순서에 따라 한 장씩 보여주고 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지를 말하게 한다. 모든 반응은 검사자에 의해서 자세하게 기록되며 10장의 카드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이 끝난 후에 검사자는 다시 카드마다 피검자가 카드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특성 때문에 그런 반응을 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반응은 채점항목과 기준에 따라 채점된다. 채점의 주요항목은 ① 반응영역(피검자가 반응한 카드의 부분), ② 결정요인(반응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준 잉크자극의 특징), ③ 반응내용(반응의 내용범주), ④ 반응의 독창성(반응의 독특성이나 창의성), ⑤ 반응의 형태질(잉크자극의 특징에 대한 반응의 적절성)이며, 그밖의 반응수, 반응시간, 채점항목간의 비율 및 관계 등이 계산된다.
투사적 검사의 특징은 검사결과의 해석이 다양하다는 점이다. 로르샤흐 검사의 경우에도 피검자가 나타낸 반응을 채점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통계적인 자료에 근거한 객관적 해석방법과 임상가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는 임상적 해석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해석방법에 따라 결과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로르샤흐 검사를 통해서 개인이 지니는 사고나 공상의 주된 내용, 욕구와 충동, 정서상태와 정서조절능력, 인지적 접근양식, 무의식적 갈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서 현실검증력, 충동통제력, 자아강도와 같은 다양한 심리적 적응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장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내용은 공부하면서 계속 업데이트 진행 중 *
[투사적 성격검사] 그림 그리기 검사 (0) | 2021.09.24 |
---|---|
[투사적 성격검사] 주제통각검사(TAT) (0) | 2021.09.24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강점검사 (CST)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MMPI) (0) | 2021.09.23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유형검사 (MBTI)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