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격의 자기제시 이론(Self-Presentation Theory of Personality)

Psychology with ASHA/@ 심리학 이론

by ASHA KANG 2021. 9. 29. 15:44

본문

728x90
반응형

성격이란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심어 준 자신에 대한 이상이나 이미지를 뜻한다고 보는 이론으로, 인생은 연극이고 온 세상은 무대이며 모든 사람은 배우이다. 성격은 주어진 역할에 따라 청중에게 보여질 인상이며 인생은 그러한 인상을 잘 제시하며 연기하는 것으로 본다.

 

 

 

자기제시는 상황적 요구에 반응하는 것으로 자신을 응시하는 청중의 유형, 사회적 압력, 자신이 보여주려는 이미지에 따라 개인의 행동이 달라진다. 자기제시의 중요한 두 가지 메커니즘은 첫째, 자신의 행동이 공적인 것인지, 즉 중요한 사람에 의해 관찰되는지를 결정하는 것과 둘째, 그 청중에게 제시할 자신의 적절한 이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청중의 유형은 공적 청중과 사적 청중으로 나누어 진다.

 

공적 청중(Public Audience) :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할 다른 사람들을 뜻하며 대인관계 상황마다 다양한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사적 청중(Private Audience) :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자시 자신을 뜻하며 완벽주의적 사람은 매우 까다롭고 기대수준이 높은 사적 청중을 지닌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자기제시는 이런 청중에게 어떤 이미지를 심어주고자 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Paulhus와 Trapnell(2008)은 사람들이 청중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자기이미지를 주체성과 연대성으로 구분한다.

 

주체성(Agency) : 자기보호와 자기확장을 위해서 유능성과 권력을 추구하는 독립적인 존재방식

연대성(Communion) : 다른 존재와 친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사랑과 소속감을 추구하는 상호의존적 존재방식

 

자기제시 이론에서 말하는 사회적 선호 반응(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 SDR)은 자신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모습으로 나타내는 반응 방식을 말한다. 

 

자기 보고형 검사에서 자신의 실제보다 더 긍정적인 모습으로 반응하는 경향성을 사회적 선회도(Social Desirablilty
)라고 하며, 사람은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실제 자신의 모습과 다르게 행동할 수 있는데, 공적 청중을 대상으로 한 공적인 자기제시를 조절하는 과정을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라고 한다.

반면, 사적 청중의 경우 인상관리를 할 필요가 없지만 긍정적인 자기상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의 방어적 과정이 작동할 수 있는데 이를 자기기만(Self-Deception)이라 한다.

 

인상관리는 자신의 부정적인 측면을 의식적으로 숨기는 것으로 억제(Supression)에 해당하는 반면 자기기만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부정적인 측면을 외면하는 억압(Repression)에 해당한다.

 

인상관리는 청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자기 이미지에 따라 주체성 관리와 연대성 관리로 구분되며, 주체성 관리(Agency Management)는 강점 홍보하기, 즉 자랑하기로서 유능성, 두려움 없음, 대담성, 창의성과 같은 속성을 강조하고 주로 구직자나 데이트를 신청하는 남자에게서 관찰된다. 연대성 관리(Communion Management)는 자신의 협동성과 도덕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핑계대기와 다양한 위험 통제를 포함하는데, 자신의 이타성을 과장하는 것은 종교적 상황, 협동성을 과장하는 종업원, 처벌을 피하려는 법적 피고인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반응형

 

자기기만에 있어서도 주체성과 연대감의 가치가 반영되는데 어떤 사람은 지배성, 두려움 없음, 정서적 안정성, 지성, 창의성, 매력과 같은 주체성 관련 성격특질에 대해서 비현실적인 자기지각을 나타내는데, 이런 자기애적이고 영웅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자기기만적 왜곡을 이기주의자 편향(Egoistic Bias)라고한다.

반면 연대감의 가치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일탈된 충동을 부정하고 자신의고결하고 성자같은 속성을 주장하는 자기기만적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우호성, 친화성, 책임의식에 대해 지나치게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나타내고 이를 도덕주의자 편향(Moralistic Bias)이라고 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