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성격의 발달과정
프로이트가 말하는 성욕이란 넓은 의미로서 타인과의 접촉을 통해 쾌락과 애정을 얻고자 하는 욕구를 뜻하는데, 성욕의 궁극적 목표는 성교행위를 통한 종족보전이지만 프로이트는 신체적 쾌락과 만족을 추구하려는 충동들을 성욕이라고 넓게 정의하였고, 이런 관점에서 유아도 성욕을 지니고 있다는 유아 성욕(Infantile Sexuality)를 주장하였다.
프로이트는 어린아이가 쾌락을 추구하는 신체부위가 나이에 따라 변하며 이런 욕구충족 경험이 성격형성에 중요하다고 보며 신체부위에 초점을 맞춘 심리성적 발달이론(Theory of Psychosexual Development)을 제시하였다.
심리성적 발달이론에서는 특정한 심리성저거 발달단계에서 욕구가 과도하게 좌절되거나 과도하게 충족되면 성적에너지가 그 단계에 고착되어 성인이 된 후에도 그 단계의 만족을 추구하는 성격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고 보았다.
1) 구강기(Oral Stage)
출생 직후부터 1년 반까지의 시기로, 입을 통해 어머니와 상호작용하면서 만족감과 좌절감을 경험하고 외부 존재에 대한 기초적인 인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구강기의 욕구가 과도하게 충족되면 다른 사람을 잘 믿고 의존적이며 요구가 많은 구강기 수용 성격(Oral Receptive Presonality)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구강기 욕구의 과도한 좌절은 입으로 씹고 깨물고 내뱉는 행동을 유발하여 구강기 공격 성격(Oral Aggressive Personality)을 형성하며 냉소적이고 탐욕스러우며 논쟁적인 태도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구강기에 고착된 성격의소유자는 엄지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뜯기, 펜이나 연필 물기, 음주 및 흡연, 수다떨기와 같이 구강 만족과 관련된 습관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구강기의 욕구가 충족될 경우 자신감 있고관대하며 외부세계에 대한 신뢰감을 지니는 안정된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2) 항문기(Anal Stage)
생후 1년 반에서 3년까지의 시기로, 배변을 참거나 배설하며 긴장감과 배설의 쾌감을 경험하고 배변훈련(Toilet Training)을 통해 불안과 수치심을 경험하게 되어 자율성과 자기통제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항문기의 욕구가 지나치게 좌절되면 완벽주의적이고 청결과 질서에 집착하며 인색한 항문기 보유 성격(Anal retentive Personality)이 나타날 수 있는 반면, 과도하게 충족되면 감정적이고 분노를 잘 느끼며 무질서한 항문기 배출 성격(Anal Expulsive Personality)이 나타날 수 있다.
적절한 욕구의 만족을 경험하면 독립적이고 자기주장적이며 협동적인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3) 남근기(Phallic Stage)
만 3세에서 6세 사이의 시기로, 남자 아동의경우 자신의 남근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는 반면, 여자 아동은 남근에 해당하는 음핵을 통해 쾌감을 느끼려는 성향이 나타나며 아동 성기기라고도 불린다.
프로이트는 이 시기가 성격발달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아동이 이성부모에게 유혹적인 행동을 보이며 애정을 독점하여고 노력하는 동시에 동성 부모를 경쟁자로 인식하게 되며 부모와의 삼각관계 속에서 복잡한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며 상상 활동이 활발해 지는데, 남자 아동은 아버지에 의해 남근이 잘릴지도 모른다는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 상상을 경험한다. 이런 남자 아동이 어머니의 사람을 얻기 위해 아버지와 경쟁하는 삼각관계에서 경험하는 복잡한 심리적 갈등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sipus Complex)라고 부른다.
반면 여자 아동의 경우에는 아버지의 애정을 독점하려 하면서 어머니를 경쟁자로 여기는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라고 부른다.
남근기에 나타내는 남자 아동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유연하게 대응하면 아동이 세대의 구분을 이해하게 되면서 유혹적 행동이 줄어들고 아버지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남자의 성역할을 학습하게 되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잘 해결되면 건강한 성정체감 형성, 초자아와 자아의 발달, 삼각관계의 수용과 더불어 건강한 이성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의 발달이라는 긍정적 결과가 나타나는 반면 잘 해결되지 못할 경우 적응과 성격형성에 문제가 초래되어 권위적 인물에 과도한 두려움과 복종적 태도를 나타내거나 지나치게 경쟁적 성격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련된 고통스러운 경험들이 성인기의 신경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4) 잠복기(Latency Stage)
만 6세부터 사춘기 이전까지의 시기로, 성적 욕구가 잠복하는 대신 학교생활, 친구교제, 운동, 취미활동에 관심을 쏟게 된다. 이 시기는 자아가 성숙하고 초자아가 확립되는 시기로서 현실적인 성취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적응 능력이 발달하게 되나 이 시기에 좌절을 경험하면 열등감이 형성되고 소극적이고 회피벅인 성격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5) 성기기(Genital Stage)
사춘기 또는 청소년기 이후의 시기로서 육체적인 성숙과 더불어 성적인 측면에서 성인으로 발달하는 시기이다. 성기기는 급격한 신테적 변화와 더불어 부모로부터 독립과 자기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중한 발달과제를 안고 있는 시기로 이 시기를 통해 성격형성이 완결된다고 보았다.
4. 성격과 방어기제
1) 불안
자아가 원초아와 초자아간에 조절하는 것에 불균형이 생기면 발생한다.
① 현실불안(Reality Anxiety) : 외부의 실재적 위협에 대한 불안으로 현실의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해소 가능
② 신경증적 불안(Neurotic Anxiety) :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안으로 자아가 원초아의 세력을 조절하지 못해 강렬한 욕망과 감정을 통제할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움
③ 도덕적 불안(Moral Anxiety) : 내부에서 발생하는 불안으로 자아와 초자아의 갈등으로 인해 도덕적 규범이나 부모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를 위배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2)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프로이트가 억압, 부인, 투사 등과 같은 기본적인 방어기제를 소개했고, 그의 막내 딸인 Anna Freud가 1936년 「자아와 방어기제」를 통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제시했다.
① 억압(Repression)
수용하기 힘든 원초적 욕구나 불쾌한 경험이 의식에 떠오르지 못하게 무의식 속에 가둬놓는 것으로 의식적 경험을 무의식적인 것으로 전환시키는데 가장 일반적 방어기제이면서 불안의 원천이기도 하다.
프로이트는 5세 이전 발생한 성적 학대와 같은 외상경험은 억압을 통해 무의식에 저장되며 외상 기억의 과도한 억압은 히스테릭 반응을 초래한다고 보았다.
② 부인(Denial)
자신의 감각이나 사고 또는 감정을 심하게 왜곡하거나 인식하지 못함으로서 고통스러운 현실을 부정하는 것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갑자기 잃게 되면 그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은 채 부정할 수 있다.
③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받아들이기 어려운 심리상태와 반대되는 행동을 함으로서 불안을 회피하는 것으로 남편에 대한 증오심을 가진 한 여성이 사랑과 헌신의 행동을 나타내며 매일에 대한 불쾌감을 회피하는 동시에 결혼 생활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④ 투사(Projection)
용납할 수 없는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다른 사람의 것으로 돌리는 것으로, 예를 들면 직장 상사에게 적개심을 가진 직원이 자신의 적개심을 상사에게 투사하여 상사가 자신을 미워한다고 인식할 수 있다.
⑤ 대치(Displacement)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위험한 사람이나 대상에게 표출하지 않고 안전한 것에 돌려 대리적으로 충족하는 것으로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 가서 눈 흘긴다'와 같은 속담이 이에 해당된다.
⑥ 합리화(Rationalization)
빈약한 성과나 실패와 같이 불쾌한 상황을 그럴듯한 이유로 정당화함으로서 불안을 회피하는 것으로 여우와 신 포도 이야기의 여우가 포도를 따는 것에 실패하자 '신 포도'라며 스스로를 위한하는 행동과 같다.
⑦ 퇴행(Regression)
이전의 발달 단계로 돌아감으로서 현재의 불안이나 책임감을 회피하는 것으로, 동생이 생긴 아이가 부모의 관심이 동생에게 집중되면 자신의 나이보다 어린 예전의 발달단계로 돌아가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⑧ 동일시(Identification)
다른 사람의 특징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면서 불안과 같은 감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아버지의 행동을 따라하며 자신이 아버지처럼 강한 사람이 된 것처럼 느끼는 아이가 이에 속한다.
⑨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정서적인 주제를 이성적인 주제로 전환하여 추상적으로 다룸으로서 불안을 회피하는 것으로 한 여자에게 거부당한 남자가 현대 여성의 심리 등에 지적인 분석을 하며 자신의 고통과 상처를 회피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⑩ 승화(Sublimation)
성적이거나 공격적 욕구를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건설적인 행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는데, 성적인 욕구를 예술로 표현하거나 스포츠를 통해 표현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정신분석이론 (3-3) (0) | 2021.10.05 |
---|---|
정신분석이론 (3-1) (0) | 2021.09.29 |
성격의 자기제시 이론(Self-Presentation Theory of Personality) (0) | 2021.09.29 |
[기질 및 성품의 심리생물학적 이론] 이론과 학자들 (0) | 2021.09.27 |
[성격의 5요인 이론] 이론과 학자들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