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격유형론] 이론과 대표적 학자들

Psychology with ASHA/@ 심리학 이론

by ASHA KANG 2021. 9. 27. 16:55

본문

728x90
반응형

1. 체질에 근거한 성격유형론

 

고대 그리스의 의학자인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460~377BC)는 인간의 성격을 체액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그의 체액론은 인간의 성격이 신체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 최초의 생물학적 성격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의 4가지 유형은 혈액, 흑담즙, 황담즙, 점액형으로 구분되며 인간의 감정, 기분, 행동은 각 체액의 과잉이나 부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히포크라테스

 

갈렌(Galen: 129~200AD)은 히포크라테스의 체액론을 잘전시켜 좀 더 구체적인 기질 유형론을 제시하였는데 뜨거움-차가움과 건조함-다습함의 두차원에 따라 사람들의 기질을 네 가지의 유형, 즉 다형형, 우울형, 점액형, 담즙형으로 분류하였다. 혈액이 우세한 다혈형(Sanguine)은 낙천적이고 활동적인 리더의 기질을 지니는 반면, 흑담즙을 많이 지닌 우울형(Melancholic)은 조용하고 생각이 많은 사색가의 기질을 갖는다. 점액이 우세한 점액형(Phlegmatic)은 느긋하고 온화한 평화주의자의 기질을 지니는 반면, 담즙이 많은 담즙형(Choleric)은 성질이 급하고 공격적인 전사의 기질을 지닌다.

 

 

2. 체형에 근거한 성격유형론

 

독일의 정신학자인 Ernst Kretschmer(1888~1964)는 체형(Body type)에 따라 성격 특성이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체형별 성격 특성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각 유형이 극단적인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장애까지 제시했다.

예를들면 뚱뚱한 체형인 사람들은 사교적이고 호의적이며 의존적인 성격을 지니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조울증을 나타내는 반면, 마른 체형의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소심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정신분열증을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William Sheldon(1989~1977)은 Kretschmer의 영향을 받아 조금더 정교한 성격 유형론을 제시했는데, 그는 체형을 세 가지 유형, 즉 내배엽형(Endomorphy: 비만체형), 중배엽형(Mesomorphy:근육체형), 외배엽형(Ectomorphy: 마른체형)으로 분류하고 각 체형이 특정한 성격특성과 관련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내배엽형은 유쾌하고 사교적인 성격을 지니며 안락함과 음식을 즐기는 경향이 있고, 중배엽형은 열정적이고 지배적인 성격을 지니고 신체적 모험과 운동을 즐기는 반면, 외배엽형은 내향적이고 예민한 성격을 지니며 몸을 움직이지 않고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3. 융Jung의 성격유형론

 

Carl Jung은 스위스의 심리학자로 개인의 다양한 성격특성을 심리적 태도와 기능의 차이로 설명하고 있다. 심리적 태도는 개인이 내면적 세계 또는 외부적 세계에 대해서 관심과 에너지를 투여하는 방향성을 의미하며 외향성(Extraversion)과 내향성(Introversion)으로 구분되고, 성격의 기능은 사고, 감정, 감각, 직관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 

 

외향성은 외부세계에 관심을 지니는 객관적인 태도인 반면 내향성은 내면세계에 관심을 두는 주관적 태도이다. 

사고(Thinking)는 사물을 이해하는 지적 기능으로서 여러 관념을 연결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감정(Feeling)은 평가 기능을 담당하며 어떤 관념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일으키는지에 따라 그 관념을 받아들일 것인지 물리칠 것인지를 결정한다. 

감각(Sensing)은 감각기관의 자극에 의해 생기는 모든 의식적 경험을 의미하며,

직관(Intuition)은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경험으로서 갑자기 나타나며 그 근원과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

 

두 가지 태도와 네 가지 기능을 조합하면 여덟 가지의 성격유형이 도출될 수 있다.

 

1) 외향적 사고형

외부세계를 지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활동에 강한 흥미를 느끼며 자연세계를 탐구하는 과학자의 특성을 지닌다.

 

2) 내향적 사고형

자신의 존재와 내면 세계에 대한 사색과 분석에 깊은 관심을 지니며 철학자나 심리학자의 성향을 지닌다.

 

3) 외향적 감정형

사회적 관습과 타인의 평가를 중요시하고 사회적 활동과 정서적 표현에 적극적이라 파티의 여주인으로 적격이다.

 

4) 내향적 감정형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며 조용하고 냉담한 듯한 모습을 나타내지만 내면적으로는 깊은 공감능력을 지니고 있다.

 

5) 외향적 감각형

외부세계에 관한 사실을 재빨리 파악하는 능력을 지니며 현실주의적이고 실제적이어서 실무에 밝은 행정가나 사업가의 특성을 나타낸다.

 

6) 내향적 감각형

세상과 접촉하면서 체험하는 내면적 감각을 섬세하게 지각하고 기술하는 능력이 탁월하며 심미적 감각이 뛰어난 문인이나 예술가의 성향을 지닌다.

 

7) 외향적 직관형

외부세계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기업인, 정치인, 신문기자의 속성을 지닌다.

 

8) 내향적 직관형

구체적인 현실보다 정신세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지하는 능력이 탁월하며 종교적 예언가, 선지자, 시인의 속성을 지닌다.

 

반응형

 

우리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마이어스-브릭스 선호 지표(Myer-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Katharine Briggs와 그의 딸 Isabel Myers가 Jung의 성격유형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격 검사이다.

MBTI는 개인이 지닌 성격의 선호 경향을 네 가지 척도로 평가하는데 네 척도가 양극의 두가지 성격 특성을 반영하므로 인간의 성격은 총 16가지의 성격유형으로 구분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