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행동평가 도구 중 하나로 심리학자인 William Marston이 제시한 행동특질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Marston은 1928년에 출간한 「정상인의 정서 Emotion of Normal People」에서 인간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대한 호의성 인식과 그 환경에서 자신이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 인식에 따라 행동방식이 달라진다고 주장했는데, 개인이 처한 환경을 호의적 또는 적대적인 것으로 인식하는지 그리고 그런 환경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강한 또는 약한 것으로 인식하는 지에 따라 인간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패턴의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1) 지배형(Dominance)
환경이 호의적이진 않지만 자신의 영향력은 강하다고 인식할 때 나타나는 행동방식으로서 주도형이라고 불리기도하며 적극적인 행동파로 잔호하고 신속하지만 지시적이고 경쟁적이며 다른 사람들에 대한 따뜻하고 공감적인 태도가 부족하다.
2) 설득형(Inducement)
환경이 호의적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영향력도 강하다고 인식할 때 나타나는 행동방식으로 사교형(Influence)이라고도 불리며, 사교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를 지녀 열정적으로 일에 임하고 친화력이 뛰어나지만 산만한 경향이 있어 세밀한 분석이나 집중이 필요한 일에 취약할 수 있다.
3) 순종형(Submission)
환경이 호의적이지만 자신의 영향력은 약하다고 인식할 때 나타나는 행동방식으로 성실하며 협력적이고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이나 충돌을 원하지 않으며 평온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추구하지만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자발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4) 동조형(Compliance)
환경이 호의적이지 않을 뿐더러 자신의 영향력도 약하다고 인식할 때 나타나는 행동방식으로 신중형(Conscientiousness)라고 불리기도 하며, 매우 조심스럽고 신중하며 치밀하고 원칙주의적 특성을 나타내지만 실수를 두려워하여 일의 속도가 느리고 과감하지 못하다.
DISC 평가는 성격을 평가하는 도구가 아니가 개인이 특정한 환경에서 나타내는 행동패턴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동일한 성격을 지닌 사람도 직장에서 나타내는 행동과 가정에서 나타내는 행동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DISC 모델에 근거하여 산업심리학자인 Walter Clarke는 1956년에 문항 평정방식으로 구성된 DISC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이후 선택지 형식을 바꿔 자기기술(Self-Description) 이라는 새로운 평가도구를 개발했다.
1970년대에 John Geier는 자기기술을 발전시켜 Personal Profile System을 개발했으며 개인의 행동패턴을 15가지 유형(예: 성취자, 개발자, 설득자, 연구자, 평가자, 상담자 등)으로 분류했다.
이처럼 DISC 평가도구는 여러학자에 의해 개발되어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도구마다 다양하므로 이를 잘 파악해서 사용해야한다.
[투사적 성격검사]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SCT) (0) | 2021.09.24 |
---|---|
[투사적 성격검사] 그림 그리기 검사 (0) | 2021.09.24 |
[투사적 성격검사] 주제통각검사(TAT) (0) | 2021.09.24 |
[투사적 성격검사] 로르샤흐 검사 (0) | 2021.09.24 |
[자기보고형 성격검사] 성격강점검사 (CST) (0) | 2021.09.23 |